이 심리 도식은 내담자들이 자주 인식하지 못하는 데도 불구하고, 치료에서 다루어야 하는 가장 흔한 심리 도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외롭고 괴롭고 우울하지만,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치료를 시작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정서적 결핍 도식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이는 애매하거나 불분명한 증상을 드러냅니다. 이렇나 내담자들은 치료자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살펴주고 이해하고 보호해줄 거라고 기대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정서적으로 결핍되어 있다고 느끼며, 충분한 애정이나 따뜻함,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깊은 정서를 표현하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또한 자신에게 힘을 북돋워 주고 안내해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느낍니다. 사람들이 자신을 오해하고 있으며 세상에 자기 혼자뿐이라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그들은 사랑에 속았다고 느끼고, 자신을 눈에 띄지 않는 존재로 여기며, 공허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언급한 바 있듯이 결핍에는 세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양육의 결핍으로, 자신을 지지해주고 관심을 기울이며 접촉과 안아주기와 같은 신체적 애정을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느낍니다. 둘째, 공감의 결핍으로,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느끼는지 진실로 들어주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느낍니다. 마지막으로, 보호의 결핍인데, 자신을 보호하고 안내해줄 사람은 없다고 느낍니다. 정작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상당히 보호해주고 안내했을지라도 말입니다. 정서적 결핍 도식은 자주 자기희생 도식과 연합됩니다. 자기희생 도식을 지닌 대부분의 내담자는 정서적으로 결핍되어 있습니다. 이렇나 내담자가 보이는 전형적인 행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서적으로 필요한 것을 중요한 타인에게 요구하지 않으며, 사랑이나 위안에 대한 바람을 표현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에 대해 거의 말하지 않으면서 묻는 데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자신이 기저에서 느끼는 것보다 강한 것처럼 행동합니다. 그리고 다른 방식으로는 마치 정서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행동함으로써 결핍을 강화합니다. 이렇나 내담자는 정서적인 지지를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요구하지도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대개는 그러한 것을 얻지 못합니다. 정서적 결핍 도식을 지닌 내담자에게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경향은 내담자에게 정서적인 지지를 줄 수 없거나 주길 원치 않는 사람들을 중요한 타인으로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냉정하고 무관심하며 자기중심적이거나 요구 적인 사람을 자주 만나서 자신을 스스로 더욱 정서적으로 결핍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부 보다 회피적인 내담자들은 외톨이가 됩니다. 그들은 친밀한 관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를 피합니다. 따라서 매우 소원한 상태로 관계에 머물러 있거나 그러한 관계들을 완전히 회피합니다. 정서적 결핍을 과잉 보상하는 내담자는 보다 요구 적인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분노를 느낍니다. 이들은 때때로 자기애적입니다. 즉, 그들은 어린 시절 응석받이였을 뿐 아니라 정서적으로 결핍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는 강한 특권의식을 발달시켜왔습니다. 또한 무엇이든 얻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경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여깁니다. 정서적 결핍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 가운데 소수는 어린 시절 다른 방식으로 응석이 받아들여졌던 사람들입니다. 즉, 정상적인 규칙에 따라 행동하도록 요구받지 않으면서 버릇없이 길러졌거나, 또는 어떤 재주나 재능에 대해 떠받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진실한 사랑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이들 중 소수는 과도하게 요구 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지나치게 많은 요구를 너무나 강렬하게 표현해서, 지나치게 의존적이거나 무기력하거나 연극적이기까지 하다는 인상을 줍니다. 그들은 정신 신체적 증상들과 같은 다양한 신체적인 불평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돌보게 하는 이차적인 이득을 얻게 됩니다. 정서적 결핍의 한 가지 중요한 치료 목표는 내담자들이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자각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내담자들은 정서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채 내버려 두는 것이 너무나 자연스럽기 때문에,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조차 자각하지 못합니다. 또 다른 목표는 내담자들이 자신의 욕구가 자연스럽고 정상적임을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입니다. 모든 아이는 양육, 공감과 보호가 필요하며, 어른인 우리 또한 여전히 이러한 것들을 필요로 합니다. 만일 내담자가 적당한 사람을 선택하는 방법과 자신이 필요한 것을 적절한 방식으로 요구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면, 그들의 정서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이 정서적으로 결핍감을 경험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본래 박탈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이들이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사람들을 선택하거나, 정서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사람을 좌절시키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행동해왔기 때문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고립 (0) | 2023.07.23 |
---|---|
결함/수치심 (0) | 2023.07.22 |
불신과 학대 (0) | 2023.07.20 |
유기 도식의 표현 양상과 치료 목표 (0) | 2023.07.19 |
변화 단계의 치료 관계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