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내담자들은 다른 사람이 그들을 지배하도록 내버려 둡니다. 그들은 처벌받거나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위협감을 느끼기 때문에 통제권을 타인에게 넘겨줍니다. 복종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첫째는 요구에의 복종으로, 자신의 바람을 억누르고 대신 다른 사람의 요구에 따릅니다. 둘째는 정서에의 복종으로, 다른 사람들이 보복할까 봐 두려워서 자신의 기분을 억누릅니다. 그들은 자신의 요구와 감정이 타당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거의 항상 화를 쌓아두는데, 이것은 수동공격 행동, 통제되지 않는 격분, 정신 신체적 증상, 정동 철회, 무의식적인 행동화 그리고 물질 남용과 같은 부적응적인 증상들로 나타납니다. 이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는 보통 심리 도식에 굴복하는 대처 방식을 보입니다. 즉, 지나치게 순응적이며, 휘둘리는 듯한 느낌에 과민합니다. 그들은 괴롭힘을 당하거나 시달린다고 느끼며 무기력해 합니다. 또한 자신을 권위적인 인물에 의해 좌우되는 존재로서 경험합니다. 이때 권위적인 인물은 자신보다 힘이 있고 강력합니다. 그런 까닭에, 내담자는 그들의 의견을 따라야 합니다. 이 심리 도식으로 인해 내담자는 상당한 수준의 두려움을 경험합니다. 만약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면 어떤 나쁜 일이 자신에게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마음속으로 염려합니다. 중요한 누군가가 그들에게 화를 내거나, 버리거나, 처벌하고, 거부하거나, 비난할 것이라고 느낍니다. 따라서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억누르는데, 이는 억누르는 것이 올바르다고 느끼기 때문이 아니라 억눌러야만 한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복종하는 것은 타인을 도와야 한다는 내재화된 가치나 욕구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복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에 반해서, 자기희생, 정서적 억제 그리고 엄격한 기준 도식을 지니고 있는 내담자들은 사적인 욕구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내재화된 가치를 지닙니다. 즉, 어떤 방식으로든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나쁘거나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욕구나 감정을 표현했을 때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느낍니다. 이렇나 세 가지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타인에 의해 통제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즉, 내적인 통제 소재를 지녔습니다. 하지만 복종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외적인 통제 소재를 지녔으며,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권위적인 인물에게 복종해야만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어떤 방식으로든 처벌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도식은 종종 회피적인 행동을 초래합니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통제하거나 함정에 빠뜨릴지도 모르는 상황을 피합니다. 어떤 내담자는 연애 관계로 인해 폐쇄공포를 경험하고 곤궁에 처하게 될까 봐 연인관계를 피합니다. 복종 도식은 또한 반항하거나 대립하는 것과 같은 과잉 보상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반항은 복종에 대한 과잉 보상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입니다. 기본적인 치료 목표는 내담자에게 자신에게 욕구와 감정이 있으며 이를 표현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깨닫도록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최선의 삶의 방식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나중까지 기다리거나 전혀 표현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어나는 그 순간에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적절하게 표현하는 한,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건강한 일입니다. 또한 건강한 사람들이라면 그렇게 했을 때 보복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욕구와 감정을 표현했을 때 일관되게 앙갚음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가깝게 지내기에 좋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의 관계는 피하도록 격려합니다. 치료 방략의 네 가지 유형인 인지적, 체험적, 행동적 방략과 치료관계 모두 이 심리 도식을 치료하는 데 중요합니다. 인지적인 측면에서, 복종적인 내담자는 중요한 타인에게 자신의 적절한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부정적인 기대를 갖습니다.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해주는 증거를 조사하고 행동 실험을 계획함으로써, 내담자는 자신의 기대가 과장된 것임을 깨닫습니다. 그뿐 아니라, 비록 어린 시절 부모가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 나쁜 것이라고 말했을지라도,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건강한 행동임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종 도식의 치료에서 체험적 방략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심상 속에서 내담자는 통제하는 부모와 권위적인 인물에게 화를 표현하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합니다. 이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종종 자신을 복종시켰던 부모를 향해 화를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치료자는 내담자가 심상이나 역할 연기에서 자유롭게 화를 표출할 수 있을 때까지 체험적인 작업을 지속해나가야 합니다. 화를 표현하는 것이 이 심리 도식을 극복하는 데 중요합니다. 내담자가 심상이나 역할 연기에서 자신의 화와 접촉하고 그것을 표출할수록, 그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심리 도식에 맞서 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분노를 표현하는 목적은 단순히 감정을 표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들이 스스로 해내 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입니다. 왜냐하면 분노는 복종에 거의 항상 수반되는 수동성에 맞서 싸울 수 있는 동기와 힘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행동적 방략은 내담자가 상대적으로 통제적이지 않은 배우자를 선택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복종적인 사람들은 통제적인 배우자에게 끌립니다. 만약 그들이 동등한 관계를 원하는 상대방에게 매력을 느낄 수 있다면 이상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통제적인 사람을 선택하기 쉬우며 그들에게 강렬한 매력을 느낍니다. 우리는 내담자가 어떠한 욕구와 감정도 전혀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배우자가 지나치게 통제적이지 않기를 바랍니다. 만일 상당히 끌릴 정도로 배우자가 지배적이더라도 기꺼이 내담자의 욕구와 감정을 고려하고자 한다면, 복종 도식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즉, 관계를 참고 견딜 만큼 서로에 대한 충분한 매력이 존재할 뿐 아니라, 내담자가 건강한 삶을 살기에 충분한 치료의 요소가 있는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인 추구/인정 추구 (0) | 2023.08.03 |
---|---|
자기 희생 (0) | 2023.08.02 |
부족한 자기 통제/ 자기 훈련 (0) | 2023.07.31 |
특권의식/웅대성 (0) | 2023.07.28 |
실패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