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성난 아동과 버림받은 아동의 대처를 돕기 우리는 환자가 성난 아동 또는 버림받은 아동 양식에 있을 때 또는 처벌적인 부모에 의해 공격받고 있을 때, 환자의 대처를 돕기 위한 인지 행동적 기법을 기술하고자 합니다. 사실 이러한 기법들은 치료 중 어떤 때라도, 환자가 이를 받아들이고 시도해보려고 노력할 수 있을 때 도입될 수 있지만, 우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법들을 치료에서 일찍, 첫 단계 동안 환자에게 가르칩니다. 1. 명상 명상은 환자가 자신을 스스로 진정시키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명상의 특정한 형태입니다. 환자는 정서로부터 자신을 스스로 차단하거나 또는 정서에 의해 과도하게 압도당하기보다, 자신의 정서를 관찰하지만 이를 행동화하지는 않습니다. 환자는 현재 경험의 감각적 측면에 주의를 두면서 현재의 순간에 초점을 맞춥니다. .. 2023. 8. 8.
처벌 이러한 내담자들은 자신을 포함해 모든 사람이 실수했을 때 가혹하게 처벌받아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도덕적이고 완고해 보이며 다른 사람이나 자신의 실수에 대해 용서하는 것을 극도로 어려워합니다. 또한 실수를 저지른 사람은 용서보다는 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에게 변명은 통하지 않으며 상황을 참작하려 하지도 않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보기에 나쁘거나 잘못된 일을 한 사람에게는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어떠한 동정도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내담자들은 자비나 연민이 결여되어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 심리 도식을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누군가가 실수를 저질렀을 때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말하는 목소리의 어조가 처벌적이고 비난하는 말투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2023. 8. 7.
엄격한 기준/과잉 비판 이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완벽주의적이며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으로 보입니다. 그들은 극도로 높은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내재화된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승인 추구/인정 추구 도식과 달리, 엄격한 기준 도식을 지닌 내담자는 좀처럼 타인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기대나 행동을 바꾸지 않습니다. 이들은 다른 사람의 승인을 얻고 싶어서가 아니라, 그렇게 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애쓰는 것입니다. 심지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이러한 내담자들은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전히 노력할 것입니다. 내담자들은 종종 엄격한 기준 도식과 승인 추구/인정 추구 도식을 모두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매우 높은 기준을 충족시키기 .. 2023. 8. 6.
정서적 억제 이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정서적으로 위축되어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고 표현하는 것을 지나치게 억압합니다. 그들은 정서적이고 표현적이기보다 감정적으로 둔감하며, 자발적이기보다 자기 통제적입니다. 대체로 따뜻함이나 돌봄을 표현하지 않고 담아두며, 자주 공격적인 충동을 억제하려 합니다. 정서적 억제 도식을 지닌 많은 내담자는 인간관계에서 친밀감보다 지기 통제를 더 우선시하며, 만약 감정을 발산하면 완전히 통제력을 상실하게 될까 봐 두려워합니다. 결국에는 수치심에 사로잡히거나, 처벌이나 유기와 같은 다른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까 봐 두려워합니다. 이러한 과도한 통제는 종종 주변 환경 속의 중요한 타인들에게까지 확장됩니다. 즉, 내담자는 중요한 타인이 긍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정서 어느 쪽도 표현하지.. 202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