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고립
이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집단에 대해 속해 있다고 느끼지 않으며, 고립되고 소외되어 있다고 느끼며,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고 있는 듯 관망하는 태도를 지닙니다. 이질감을 느끼며 자란 사람은 누구나 이 심리 도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들, 유명인의 가족, 대단히 예쁘거나 추한 사람들, 동성애자들, 소수 인종,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들, 외상 경험자, 장애자, 고아나 입양아, 주변 사람들보다 경제적인 수준이 상당히 높거나 낮은 사람들이 그러한 예에 속합니다. 그들이 보이는 전형적인 행동은 주변을 맴돌거나 집단으로 함께 어울리기를 피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혼자 하는 활동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대부분의 외톨..
2023. 7. 23.
결함/수치심
이러한 심리 도식을 지닌 내담자들은 자신이 불완전하고, 결점이 있고, 열등하며, 나쁘고, 무가치하거나 사랑스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자주 자기 자신에 대해서 만성적인 수치심을 느낍니다. 그들은 자신의 어떤 면에 결함이 있다고 생각할까요? 거의 모든 개인적인 특성들에 대해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이 지나치게 화를 내거나, 지나치게 요구 적이거나, 지나치게 악하거나, 지나치게 추하거나, 지나치게 말랐거나, 지나치게 키가 크거나, 지나치게 키가 작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그들은 받아들일 수 없는 성적인 혹은 공격적인 욕구들을 가지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러한 내담자들은 그들 존재 자체에 어떤 결함이 있다고 느낍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그들이 행하는 어떤 행동 자체가 아니라, 자..
2023. 7. 22.